피묻은 침대 시트와 처참한 상처로 얼룩진 얼굴.
18살 김 모 군은 단짝 친구를 일주일간 여관방에 가둬놓고 이렇게 잔인하게
폭행했습니다.
[성지현/창원 중부경찰서 형사과 : (가해자가) 어떤 마음으로 그렇게 악랄하게 폭행했는지… 경찰 생활 오래 했지만
이런 식으로 심하게 폭행당한 걸 본 적은 없는 것 같아요.]
김 군은 해외 인턴십까지 준비하던 모범생.
하지만, 예전엔
학교 폭력의 피해자였습니다.
[김 모 군(18살)/동급생 '감금치상' 혐의로 재판 : 진짜 교실에 가만히 앉아 있는데 (친구들이)
저를 막 때리고 돈도 자꾸 빌리고 그래놓고 안 갚고… 담임선생님한테 친구들이 자꾸 그런다고 얘기를 해도 항상 저를 먼저
나무랐습니다.]
지난해 교육과학부 조사 결과, 학교폭력 피해학생 4명 중 1명은 가해자이기도
합니다.
[조재룡(16세)/고교 자퇴('일진' 출신) : 맨날 당하는 것보단 차라리 싸우는 게 낫다 생각해서 싸웠어요. 주변에서 막
힘이 세다고 띄워주니까.]
폭력이 또 다른 폭력을 낳는 겁니다.
SBS 스페셜은 학교폭력을 가하거나 당한 학생 14명이
털어놓는 솔직한 이야기를 통해 오늘 밤부터 매주 일요일 3주에 걸쳐 학교폭력, 그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해법을
제시합니다.
(영상편집 : 박정삼)
최종편집 : 2013-01-13 21:16
http://news.sbs.co.kr/section_news/news_read.jsp?news_id=N1001579315
폭행, 폭행, 폭행......
가해자의 범위가 변하고 있다. 성적은 중간이상, 가정형편도 나쁘지 않은 아이가 가해자인 경우가 많다.
학교라는 공간은 무엇인가.
왕따, 서열, 세력, 권력을 배워가나.
해답이 없는 현실일까.
믿고 보낼 수 있는 곳이라면 얼마나 좋을까.
대안학교도 하나의 대안이겠고, 공교육과 정부에서도 대책을 마련해야겠지...
누가 함부로 남을 해할 수 있는가.
누가 가해자이고 피해자인가.
태어날 때부터 정해지지도 않았고 권리는 어디에서 올라오는가.